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중위소득에 대하여

by 션이앰 2025. 3. 17.
반응형

중위소득이란

중위소득

 

국민의 각 가구들이 벌어들이는 소득의 중간 값 을 이야기 합니다.

예를들어 국민이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, 그 중 50번째 사람의 소득을 이야기 합니다.

우리나라 정부는 매년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합니다. 이 기준으로 사회복지나 공공정책 수립에 목표 계층을 설정하고 복지지원사업에 대한 수급자를 선정하게 됩니다.

 

작년 2024년도 와 올해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표를 비교하여 알아보겠습니다

 

※ 이 표는 중위소득 100% 입니다.

가구수 2024년 2025년
1인 가구 2,228,445 원 2,392,013 원
2인 가구 3,682,609 원 3,932,658 원
3인 가구 4,714,657 원 5,025,353 원
 4인 가구 5,729,913 원 6,097,773 원
5인 가구 6,695,735 원 7,108,192 원

 

 

중위소득 계산방법

기준 중위소득 %별 계산방법
기준중위소득 X 중위소득 %

 

예를들어 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% 계산 이라고 하면

6,097,773원 X 1.0 = 6,097,773 원 이되고

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% 계산 이라고 하면

6,097,773원 X 1.5 = 9,146,659 원 이 됩니다.

 

본인이 중위소득 몇 %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려면 먼저 가구원 수를 파악합니다.

가구원 전체의 월별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재산소득 등 총 소득을 합산합니다. 

위의 표에서 해당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을 확인하고 본인의 가구 총소득이 이 금액 이하인지

이상인지 비교해봅니다.

 

중위소득 확인 시 주의할 점

중위소득 확인 시 주의 할 점을 꼽자면, 이 중위소득 표는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

실제로 각 가구의 상황은 다르고 다양함으로 한 가구에 영유아나 노인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로 인해 추가 지출이 많을경우

일반 가구와 생활비 구조 자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중위 소득은 평균 수준을 반영한 사회적 지표라는 것입니다.

그리고 현재 시점에서 2025년 이후로도 계속 수치는 변동될 가능성이 큽니다.

기관별 심사는 여러 기준을 충족해야만 지원금 선정 대상이 되거나 지급이 된다는 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반응형